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우근민 전 제주지사를 공천해서는 안됩니다!
지난 14일 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우근민 전 제주지사의 공천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한 채 회의를 마감했다고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근민 전 제주지사는 2002년 현직 지사 시절 여성직능단체장을 ‘성희롱’하여, 최근 민주당 제주도지사 후보로의 영입과 복당과정에서부터 여성․시민사회단체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쳐 있는 인물이다.
우 전 지사는 지난 7일 민주당 복당을 위해 ‘성희롱 인정과 사과’를 담은 소명자료를 제출했으나, 다시 말을 바꿔 13일 예비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에서는 “검찰이 성희롱으로 보기 어렵다고 했다”, “억울하다, 결백하다”라며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여성․시민사회단체 등의 반대에 대해서는 ‘마녀사냥’, ‘정치적 음해와 테러’라면서 적반하장격 공세를 퍼부었다.
14일 민주당 공심위가 우 전 지사의 공천자격에 대해 결론을 유보하자, 오늘 다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예비 후보자들에 대한 경선참여 자격을 전 당원 전수 여론조사 50%와 대의원 여론조사 50%를 반영하여 결정‘할 것을 요구하면서, 중앙당에서 자신의 경선 자격을 배제할 경우 탈당도 불사하겠다는 의도를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나섰다.
우 전 지사의 이러한 요구는 앞뒤가 맞지 않는 억지논리에 불과하다. 공심위의 역할은 각 정당의 예비후보들이 주민 앞에 설 자격이 되는지를 거르는 최소한의 거름장치일 뿐이다. 과일 하나에도 농사지은 농부의 실명을 기재하여 상품의 질을 책임지는 세상이다. 하물며 광역자치단체를 4년동안 이끌어갈 후보의 출마자격에 대해 중앙당의 책임있는 고위당직자와 사회적 신망을 받는 공심위원들이 결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비후보 경선자격을 당원들이 정해야 한다는 발상은 이러한 기본 원칙을 회피하려는 야비한 술책일 뿐이다.
현직 지사라는 신분을 이용하여 여성인권을 무시하고, 수년동안 이에 대한 진정성있는 사과와 반성이 없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 말 뒤집기를 손바닥 뒤집듯 쉽게 하는 정치인에게 제주도를 맡길 수는 없다. 특히 민주개혁세력이라 자처하는 민주당이 여성인권과 민주주의의 기본 가치를 무시하는 인물에게 경선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민주당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일일 것이다.
최근 더욱 극심해지고 있는 여성과 아동에 대한 성폭력 사건들로 인해 여성들은 물론이고 어린 자녀를 가진 부모들은 한시도 마음 편한 날이 없다. 성희롱 전력에도 불구하고 아무렇지도 않게 도지사 후보로 출마할 수 있는 사회에서 여성인권이 보장될 리 만무하다. 아무리 전자발찌를 채우고 가해자 신상을 공개해도 이러한 사회분위기가 바뀌지 않는 한 여성들의 불안은 가실 리가 없다.
민주당은 ‘이 정도 사안쯤이야 넘어갈 수 있겠지’라는 인식이 얼마나 안이한 것인지 빨리 깨닫기 바라며, 오늘 저녁 예정된 공심위에서 이 논란의 종지부를 확실히 찍어 주길 바란다. 더 이상 성희롱 등 여성폭력 전력이 있는 인물들이 공직후보로 나서는 일이 없도록 하여 그동안 천명해온 공천개혁의 기치를 현실로 보여주길 바란다. 그것만이 유권자들로부터 신망을 얻고 지지를 얻는 길이다.
2010년 3월 16일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우근민 전 제주지사를 공천해서는 안됩니다!
지난 14일 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우근민 전 제주지사의 공천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한 채 회의를 마감했다고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근민 전 제주지사는 2002년 현직 지사 시절 여성직능단체장을 ‘성희롱’하여, 최근 민주당 제주도지사 후보로의 영입과 복당과정에서부터 여성․시민사회단체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쳐 있는 인물이다.
우 전 지사는 지난 7일 민주당 복당을 위해 ‘성희롱 인정과 사과’를 담은 소명자료를 제출했으나, 다시 말을 바꿔 13일 예비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에서는 “검찰이 성희롱으로 보기 어렵다고 했다”, “억울하다, 결백하다”라며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여성․시민사회단체 등의 반대에 대해서는 ‘마녀사냥’, ‘정치적 음해와 테러’라면서 적반하장격 공세를 퍼부었다.
14일 민주당 공심위가 우 전 지사의 공천자격에 대해 결론을 유보하자, 오늘 다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예비 후보자들에 대한 경선참여 자격을 전 당원 전수 여론조사 50%와 대의원 여론조사 50%를 반영하여 결정‘할 것을 요구하면서, 중앙당에서 자신의 경선 자격을 배제할 경우 탈당도 불사하겠다는 의도를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나섰다.
우 전 지사의 이러한 요구는 앞뒤가 맞지 않는 억지논리에 불과하다. 공심위의 역할은 각 정당의 예비후보들이 주민 앞에 설 자격이 되는지를 거르는 최소한의 거름장치일 뿐이다. 과일 하나에도 농사지은 농부의 실명을 기재하여 상품의 질을 책임지는 세상이다. 하물며 광역자치단체를 4년동안 이끌어갈 후보의 출마자격에 대해 중앙당의 책임있는 고위당직자와 사회적 신망을 받는 공심위원들이 결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비후보 경선자격을 당원들이 정해야 한다는 발상은 이러한 기본 원칙을 회피하려는 야비한 술책일 뿐이다.
현직 지사라는 신분을 이용하여 여성인권을 무시하고, 수년동안 이에 대한 진정성있는 사과와 반성이 없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 말 뒤집기를 손바닥 뒤집듯 쉽게 하는 정치인에게 제주도를 맡길 수는 없다. 특히 민주개혁세력이라 자처하는 민주당이 여성인권과 민주주의의 기본 가치를 무시하는 인물에게 경선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민주당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일일 것이다.
최근 더욱 극심해지고 있는 여성과 아동에 대한 성폭력 사건들로 인해 여성들은 물론이고 어린 자녀를 가진 부모들은 한시도 마음 편한 날이 없다. 성희롱 전력에도 불구하고 아무렇지도 않게 도지사 후보로 출마할 수 있는 사회에서 여성인권이 보장될 리 만무하다. 아무리 전자발찌를 채우고 가해자 신상을 공개해도 이러한 사회분위기가 바뀌지 않는 한 여성들의 불안은 가실 리가 없다.
민주당은 ‘이 정도 사안쯤이야 넘어갈 수 있겠지’라는 인식이 얼마나 안이한 것인지 빨리 깨닫기 바라며, 오늘 저녁 예정된 공심위에서 이 논란의 종지부를 확실히 찍어 주길 바란다. 더 이상 성희롱 등 여성폭력 전력이 있는 인물들이 공직후보로 나서는 일이 없도록 하여 그동안 천명해온 공천개혁의 기치를 현실로 보여주길 바란다. 그것만이 유권자들로부터 신망을 얻고 지지를 얻는 길이다.
2010년 3월 16일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성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희롱 전력 우근민 前 제주지사의 민주당 공천을 반대한다! (0) | 2010.03.23 |
---|---|
민주당의 우근민 전 제주도지사 복당 결정에 대한 논평 (0) | 2010.03.23 |
중앙일보의 천박한 문제의식과 물타기식 언론보도 태도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 (1) | 2010.03.19 |